본문 바로가기
역사(사회)

[역사] 6월 민주항쟁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Remembering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by 정남c 2024. 6. 18.
반응형

6월 항쟁_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경향신문)_이미지
6월 항쟁_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경향신문)

 

오늘은 6월이 되면 꼭! 기억해야 하는 6월 민주항쟁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공유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민주 항쟁의 배경

1980년대 초, 우리나라는 전두환 정권의 군부 독재 아래에 있었습니다.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의 피살 후, 군부는 다시 정권을 장악하였고,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했습니다.

 

이로 인해 군부 독재에 대한 국민의 불만은 커져갔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억압하며 정치적 탄압을 지속하였고, 경제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점점 커져갔습니다.

 

2. 민주 항쟁의 개요

6월 민주항쟁은 1987년 6월 대한민국 전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민주화 운동입니다. 이 운동은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6월 이한열 열사의 최루탄 피격 사건을 계기로 폭발했습니다.

*영화 1987의 소재로 활용되었습니다.

 

두 사건은 전두환 정권의 억압적이고 비인도적인 면모를 드러내며 국민의 분노를 자아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987년 1월 14일,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은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했습니다. 경찰은 이를 은폐하려 했으나,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면서 국민의 분노가 크게 일었습니다.

 

 

2) 이한열 열사의 피격 사건

1987년 6월 9일, 연세대학교 학생 이한열은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머리를 맞아 중태에 빠졌습니다. 이 사건은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국민의 분노는 극에 달했습니다.

 


반응형

 

3. 6월 항쟁의 전개

6월 10일, 전국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은폐 조작 규탄 및 호헌 철폐 국민대회'가 열렸습니다. 이후 6월 26일까지 매일 수십만 명의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전두환 정권의 종식과 민주화를 요구했습니다. 주요 도시에서는 시위가 끊임없이 이어졌고, 결국 정부는 이를 진압할 수 없었습니다.

 

 

4. 이후 영향

6월 민주항쟁의 결과, 전두환 정권은 국민의 민주화 요구를 더 이상 무시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1987년 6월 29일, 노태우 당시 민주정의당 대표는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를 약속하는 '6.29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은 대통령 직선제를 도입하였고, 1987년 12월 첫 직선제가 실시되었습니다. 노태우는 이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

 

 

1) 정치적 변화

6월 민주항쟁은 대한민국의 정치 지형을 크게 바꿨습니다. 군부 독재는 막을 내렸고, 이후 민주화의 길로 나아가게 되었습니다.

* 전 세계적으로 공짜 민주주의는 없다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누군가의 피 또는 눈물 없이는 거저 얻어지지 않습니다.

 

민주적 절차와 법치가 강화되었으며, 정치적 자유가 확대되었습니다.

 

 

2) 사회적 변화

6월 민주항쟁은 시민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국민의 정치 참여 의식이 높아졌고, 다양한 사회운동이 활성화되었습니다. 이는 이후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과 시민권 신장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3) 경제적 변화

정치적 안정이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민주화 이후 한국은 정치적 투명성과 사회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후진 수준인 정부가 '국가부도의 날'을 맞이하였습니다.

 

 

이렇듯 6월 민주항쟁은 우리나라의 현대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국민의 힘으로 군부 독재를 종식시키고 민주주의를 쟁취한 역사적 사건으로, 오늘날 한국의 민주주의와 시민 의식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만, 1997년까지 정권교체에 실패하여 IMF라는 암흑의 시기를 겪기도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항쟁은 한국 사회가 어떠한 어려움에도 민주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는 시민의식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2016~2017년의 촛불혁명까지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것을 드러낸다고 생각합니다.

 


 

<IN English>

Today, as we enter June, let's take a closer look at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an event we must remember and share.

1. Background of the Uprising

In the early 1980s, South Korea was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President Chun Doo-hwan. After the assassination of President Park Chung-hee in October 1979, the military seized power again, and in May 1980, they violently suppressed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This led to growing discontent among the populace against the military dictatorship. Despite economic growth, the Chun Doo-hwan regime continued to suppress political freedoms and maintain political repression, which amplified the people's demands for political freedom.

2. Overview of the Democratic Uprising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in 1987 was a large-scale democratization movement that took place across South Korea. This movement was ignited by two key events: the torture and death of Park Jong-cheol in January 1987 and the tear gas attack on Lee Han-yeol in June 1987.

These events were depicted in the film "1987: When the Day Comes."

These incidents revealed the repressive and inhumane nature of the Chun Doo-hwan regime, inciting widespread public anger.

 

1) The Park Jong-cheol Incident On January 14, 1987,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ent Park Jong-cheol died due to police torture. The police attempted to cover up the incident, but the truth was eventually revealed, causing widespread public outrage.

2) The Lee Han-yeol Incident On June 9, 1987, Yonsei University student Lee Han-yeol was struck in the head by a tear gas canister fired by police during a protest, leaving him in critical condition. This incident further fueled public anger and became a catalyst for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3. Development of the June Uprising

On June 10, nationwide rallies were held under the banner of the "National Rally for the Denunciation of the Cover-Up of the Torture Death of Park Jong-cheol and the Abolition of the Constitution." From then until June 26, hundreds of thousands of citizens took to the streets daily, demanding the end of Chun Doo-hwan's regime and the democratization of the country. Protests continued relentlessly in major cities, and the government was ultimately unable to suppress them.

4. Aftermath and Impact

As a result of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the Chun Doo-hwan regime could no longer ignore the people's demands for democratization. On June 29, 1987, Roh Tae-woo, then leader of the Democratic Justice Party, announced the "June 29 Declaration, " promising constitutional amendments for direct presidential elections and democratization. Consequently, South Korea adopted a system of direct presidential elections, and the first such election was held in December 1987, in which Roh Tae-woo was elected president.

 

1) Political Changes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significantly altered South Korea's political landscape. Military dictatorship came to an end, and the country embarked on the path to democratization. Democratic procedures and the rule of law were strengthened, and political freedoms expanded.

It proved globally that democracy does not come free; it requires sacrifices of blood and tears.

2) Social Changes The uprising had a profound impact on civil society as well. Public political awareness increased, and various social movements became more active. This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the expansion of civil rights in South Korea.

3) Economic Changes Political st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economic growth. After democratization, South Korea achieved sustained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political transparency and social stability.

However, a poorly performing government led to the "National Day of Bankruptcy."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thus marked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modern Korean history. It was a historic event where the people overthrew military dictatorship and achieved democracy. Although the failure to change the regime until 1997 led to the dark period of the IMF crisis, the uprising demonstrated that Korean society could achieve democratization despite difficulties. This laid the groundwork for subsequent movements, includ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of 2016-2017.

In conclusion,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is a testament to the resilience and determination of the Korean people in their pursuit of democracy, shaping the democratic and civic consciousness of modern South Korea.

 

 


<정남c series>

2024.06.11 - [역사(사회)] - [역사] 김재규 재심 가능성 및 역사의 재판에 대해서

 

[역사] 김재규 재심 가능성 및 역사의 재판에 대해서

김재규는 1979년 10월 26일,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었던 박정희를 저격한 사건으로 인해 사형을 선고받고 1980년 5월 24일에 형이 집행되었습니다. 이후 김재규의 행위에 대한 평가와 재심 가능성,

21ilsang.tistory.com

 

2024.05.31 - [역사(사회)] - [역사] 정당의 권리당원과 일반당원 그 차이

 

[역사] 정당의 권리당원과 일반당원 그 차이

오늘은 대한민국의 주요 정당들에서 권리당원과 일반당원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그중에서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조국혁신당 등을 중심을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당

21ilsang.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