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나라 국회 전자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두 가지 주요 청원을 소개해 드립니다. 현재 많은 국민들의 동의를 얻고 있는 이 청원들은 대한민국의 정치적, 헌정적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및 내란죄 수사를 위한 특검법 제정 촉구 청원
청원의 핵심 내용
이 청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를 위헌·위법적 행위로 규정하며, 이에 대한 탄핵소추와 내란죄 수사를 위한 특검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 청원 이유
윤석열 대통령이 위헌·위법적 비상계엄을 선포하여 헌정질서를 파괴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헌법 제87조에 규정된 내란죄에 해당한다고 청원인은 주장합니다. - 주요 요구사항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 의결
- 내란죄 수사를 위한 특별검사 임명 법률 제정
- 청원 현황
2024년 12월 12일 기준, 35만 7,090명의 동의를 얻어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될 조건을 충족했습니다.
👉 청원 바로가기
2. 헌법과 법률을 유린한 국민의힘 정당 해산 청원
청원의 핵심 내용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집단 불참한 것을 헌법과 법률 위반으로 간주하고, 국민의힘 정당의 해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청원 이유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의 집단적 행동이 민주주의 기본 질서를 훼손하고 헌법 정신을 위반했다고 주장합니다. - 주요 요구사항
- 국민의힘에 대한 정당 해산 심판 청구
- 관련 의원들에 대한 징계 절차 시행
- 청원 현황
2024년 12월 12일 기준, 27만 1,727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습니다.
👉 청원 바로가기
청원의 의미와 전망
이 두 청원은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의 국민적 반응을 반영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 사회의 정치적 혼란과 갈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입니다.
- 국회 회부
두 청원 모두 5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어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될 조건을 충족했습니다. - 실질적 진행 가능성
국민의힘 정당 해산의 경우, 정당 해산 심판은 국회가 아닌 행정부에서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헌법재판소에 청구해야 진행됩니다. 따라서 실제 절차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 국민적 관심 고조
이번 청원은 시민들이 국가 정치와 헌법 질서에 대해 얼마나 깊이 우려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민의 목소리가 향후 정책과 제도 개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이 두 청원은 국민의 목소리를 통해 헌정 질서를 바로잡고, 민주주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사태가 한국 정치와 법제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앞으로의 추이를 지켜보아야 할 것입니다.
혹시 동참하고 싶으신가요?
위 링크를 참고해서 세부 내용을 확인하고 직접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정남c series>
2024.12.07 - [역사(사회)] - 국가 내란죄 : 성립요건과 처벌규정
국가 내란죄 : 성립요건과 처벌규정
내란죄는 대한민국의 헌법 질서를 위협하고 국가 안보를 저해하는 가장 심각한 범죄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이 조항은 국가의 안정성을 지키기 위한 핵심 법적 장치로 작용하며, 형법 제87조에
21ilsang.tistory.com
2024.12.05 - [역사(사회)] - [비상계엄령] 왜 계엄군은 선관위에 더 많은 병력을 배치했을까?
[비상계엄령] 왜 계엄군은 선관위에 더 많은 병력을 배치했을까?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계엄군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에 국회(280여 명) 보다 더 많은 병력(297명)을 투입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이 사건을 살펴보면 단순한 인원
21ilsang.tistory.com
'역사(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12.3 내란 사태 이후 현재 상황: 수사와 책임 규명 진행 현황 (4) | 2024.12.17 |
---|---|
[사회] 브래드 셔먼: 미국 중진 의원이 바라보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 (1) | 2024.12.13 |
국가 내란죄 : 성립요건과 처벌규정 (2) | 2024.12.07 |
[비상계엄령] 왜 계엄군은 선관위에 더 많은 병력을 배치했을까? (2) | 2024.12.05 |
[역사] 비상계엄 :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아닙니까?! (1) | 2024.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