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07

[경제] 부가노동자 효과와 실망노동자 효과에 대해서 오늘은 경기 침체 시에 흔하게 목격하게 되는 실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효과(부가노동자 효과와 실망노동자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부가노동자 효과 경기 후퇴 시(또는 경기 침체)에 '추가로 노동시장에 참가하는 노동자들이 증가'하게 되어 실업률이 더욱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실업률이 더욱 높아지는 효과를 '부가노동자 효과'라고 합니다.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면, 경기가 나빠지면 상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노동에 대한 수요도 감소하여 실업이 늘어나게 됩니다. 가구 세대주가 실직을 당하거나 노동시간이 줄어들게 되면, 가계의 소득이 감소하게 되어 생활이 어려워지게 되는 상황에 빠집니다. 이때 소득의 감소를 보전하기 위해 비경제활동인구에 속해 있던 배우.. 2023. 12. 10.
[IT] 구글 최첨단 인공지능(chat GPT 뛰어넘는) 제미나이 등장!! IT업계에서 아주 핫한 소식이 나왔습니다. 지난 7일 오전(미국현지시간 6일) 구글에서 최신 인공지능 모델인 제미나이(Gemini)를 공개하였습니다. 제미나이는 이미지, 텍스트, 데이터, 코드 등을 한꺼번에 인지하고 다룰 수 있는(멀티모달) 것으로 소개되었으며, 인간 '전문가'를 뛰어넘는 최초의 인공지능(AI)으로 누구와도 자연스럽고 유창하게 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참조 URL : 유튜브(지식 100'c) "구글 새로운 인공지능 Gemini 기습 공개!" 유튜브(지식 100'c) 또한 제미나이는 12월 13일부터 개발자와 기업 고객은 구글 AI 스튜디오(Google AI Studio) 또는 구글 클라우드 버텍스 AI(Google Cloud Vertex AI-보기)에서 제미니 API를 .. 2023. 12. 9.
[기타] 한국어 문체의 종류와 차이 오늘은 한국어(한국인이 모국어)의 문체의 종류와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금도 이렇게 글을 쓰면서도 그 종류와 그 톤엔 매너(tone & manner)를 그대로 잘 유지하고 있는지 스스로 궁금해서 알아보고 소개드립니다. 한국어는 다양한 문체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경어체, 평어체, 구어체, 문어체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체입니다. 해서, 각 문체는 서로 다른 상황과 목적에 따라 사용되기 때문에, 그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경어체(존댓말 or 높임말)경어체는 존중하거나 공손하게 대해야 하는 상대에게 사용하는 문체입니다. 이 문체는 주로 공식적인 상황, 또는 나이가 많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어떻게 지내셨습니까?"는 경어.. 2023. 12. 8.
[역사] 전략 삼십육계 중 '만천과해'와 '위위구조' 대해서 오늘은 전략에서 많이 활용되는 중국의 병법서인 ‘삼십육계’ 중에서도 '승전계’에 속하는 두 가지 전략, '만천과해’와 '위위구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두 전략의 유래와 의미, 그리고 활용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천과해(瞞天過海) '만천과해’는 한자로 '瞞天過海’라고 씁니다. 이 사자성어는 '하늘을 속이고 바다를 건넌다’는 뜻으로, 주로 적을 속이는 전략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자세하게는 '적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고, 그 틈을 타서 목표를 달성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만천과해의 유래는 영락대전 중에 나온 내용으로 당태종이 30만 대군을 일으켜 고구려를 치러 가는 중에 바다를 못 건너는 상황에서 설인귀가 계책으로 방안(배)으로 들어가게끔 해서 군대가 바다를 건널 수 있도록 만.. 2023.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