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사회)82

[역사] 수능의 역사 및 수능 잘 보기 위한 방법 내일(11/16_목)은 수험생들에게 길고 길었던 '2024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는 날입니다. 해서 수능시험의 역사와 지금이라도 수능시험을 편하게 잘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능의 역사 우선 수능의 목적은, 즉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대학에 입학해 교육을 얼마나 잘 '수학 (修學)'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해서, 우리나라에서 성장하는 사람이라면 가장 중요한 시험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조선 시대로 보면 '과거'시험과 같을 것입니다.) 첫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지난 1993년 8월에 시행되었다고 합니다. 1975년생이 고3인 시절, 그리고 수능 첫 세대는 94학번이 되었습니다 수능이 도입되기 전 한국의 대입 제도는 연합고사, 자격고사, 예비고사, 학력고사 순으로 4번 .. 2023. 11. 15.
[역사] '(나눔문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전쟁 이면의 진실' 알아 보기 [나눔문화 성명]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이면의 진실 [나눔문화 성명]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이면의 진실 - 글로벌 평화나눔 ※아래 내용은 2023년 11월 2일에 수정 보완된 성명입니다. 다시, 세계에 ‘전쟁의 도미노’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아프리카 국가들의 쿠데타, 중국의 영토 분쟁 그리고 www.nanum.com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와중에 관련해서 좀 더 심도 있게 그 이면의 진실을 알아보고자 '나눔문화'의 글을 요약하고 제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나눔문화는 2006년부터 레바논 아인 알 할웨에 팔레스타인인 난민촌에 '자이투나 나눔문화 학교'를 설립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쟁 도미노 세계는 다시 ‘전쟁의 도미노’ 상태에 직면하고 있습니.. 2023. 11. 12.
[역사] 이스라엘과 이슬람의 수니파, 시아파에 대한 역사와 갈등 이해 최근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을 통해서, 중동사에 관심을 갖고 좀 더 근원적인 이유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중동 지역에 위치한 나라로,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어우러진 곳입니다. 이스라엘인의 약 75%는 유대인에 속하며, 약 20%는 아랍인, 나머지 소수민족이 5%를 차지합니다. 2014년에 조사된 통계에 따르면, 이스라엘인의 약 75%는 유대교를 신봉하며, 17.5%는 이슬람교, 2%는 기독교, 1.6%는 드루즈교를 신봉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니파 수니파는 전 세계 무슬림의 85~90%를 차지하는 이슬람교의 가장 큰 분파입니다. 수니파는 아랍어로 '순나를 따르는 자’라는 뜻으로, 여기서 순나는 무함마드의 가르침을 말합니다. 수니파는 무함마드가 후계자를 지정하지 않았으며 다만 사키파.. 2023. 11. 2.
[역사]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매국의 역사 오늘은 근현대사에서 논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매국의 역사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어느 정도의 객관성과 주관성이 반영된 사항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매국 역사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는 많은 사건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매국에 관련된 역사는 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간단하게라도 대한민국의 매국 역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1910년~1945년)는 대한민국 역사에서 가장 어두운 시기로, 많은 한국인들이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받았습니다. 이 기간 동안 일부 한국인들은 일본의 지배를 받아들이고 협력했으며, 이들을 우리는 '매국노’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당시 대표적인 매국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을사오적 : 학.. 2023. 10.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