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사회)80 [뉴스] 2024년 최저임금 확정 어제(7/19일) 최저임금위원회를 통해서 '2024년 최저임금'이 결정되었습니다. 솔직히 당! 연! 히! 만원은 넘을 것이라 예상했는데;; 앵?! 9,860원으로 결정 되었습니다.(2023년은 9,620원) 역대 두번째로 낮은 인상인데, 첫 번째는 2020년 코로나 직격탄을 맞아 다음 해(2021년)에 경기가 엄청 안 좋아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핑계로) 최저임금을 동결하다시피 했었죠.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도 끝났다고 해외여행도 더 가고 있는 상황에 (아~ 그 해외여행을 고용보험_실업급여로 보려나!?) 물가도 폭등(체감 물가는 작년보다 최소 10~20%인상된 것 같은데)하는데;;; 안타깝습니다. 누굴 욕하겠습니까?! 최저임금 9860원…역대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 2.5%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 .. 2023. 7. 20. [역사] 제헌절은 휴일이었나요?! 어제(7/17일)는 대한민국의 중요한 기념일 중 하나인 '제헌절'이었습니다. 해서, 제헌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날은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과 공포를 기리는 날로, 매년 7월 17일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제헌절은 우리나라 최초의 헌법이 만들어진 날로, 국가적 자유와 권리, 더불어 국민의 의무와 책임을 공식적으로 규정한 의미 있는 날입니다.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은 '대한민국헌법'을 공포함으로써 법치국가로서의 기반을 마련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은 국민 개개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데 앞장서는 동시에, 국민 모두가 헌법에 의해 보장받는 평등한 기회를 갖는 민주주의 국가가 되었습니다. 헌법에 대해서 알아보기 제헌절을 기리는 많은 방법 중 하나는 이날의 중요성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2023. 7. 18. [역사] 대한민국 '운동권'의 분류 : PD(People's Democracy)와 NL(National Liberation) 최근에 옛날 (대학교 때) 기억이기도 하면서, 현재도 진행되고 있는 사회운동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혹시 관련해서 궁금했던 분들은 재미있게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저도 잘 모르는 분야라 함 찾아본 내용입니다) 대한민국의 사회운동은 다양한 이슈와 주제를 다루며, 그중에서도 '운동권'은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유명한 'PD'와 'NL'이라는 두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D (People's Democracy) 'PD'는 'People's Democracy'를 가리키며, '사람들의 민주주의'를 의미합니다. PD 계열의 운동은 사회 구성원들이 직접 참여하여 민주주의를 실현시키려는 노력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합니다. 해서, 이러한 운동은 직접.. 2023. 7. 11. [역사] 중국어 간체와 번체의 역사 및 차이점 이해하기(Understanding the History and Differences Between 오늘은 중국어의 두 가지 주요한 문자 체계인 간체와 번체에 대해 배워보려 합니다. *옛날식 표현인 '북경어'와 '대만어'로 익숙해서; 헷갈리더라고요;; 중국어를 배우거나 중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이 두 가지 용어를 종종 듣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간체와 번체는 무엇이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 두 가지 체계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간체와 번체란 무엇인가? 간체자와 번체자는 모두 한자를 기반으로 한 중국어 문자입니다. 번체자는 '전통적인 문자'를 의미하며, 대체로 복잡한 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간체자는 '단순화된 문자'를 의미하며, 20세기 중반 중국에서 문자를 단순화하고 획 수를 줄이기 위한 운동의 결과물입니다. 역사와 발전 번체자는 고대 중국에서부터.. 2023. 7. 5.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