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사람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및 신청하는 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우리나라 정부에서 지원하는 청년들을 위한 저축 계좌입니다. 정부는 매달 10만 원(최대 50만 원)을 3년간 지원합니다. 이 계좌는 현재 취업하지 않은 청년이나 학생으로서 18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들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지원대상은 아래 4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고 합니다. (ㅠㅜ)
1) 연령기준 : 신청당시 만 19세~34세 이하인 경우(기초수급자나 차상위자는 만 15세~39세 이하)
2) 근로/사업 기준 : 현재 근로 중인 경우
3) 소득 기준 : 근로/사업 소득이 월 50만 원 ~ 월 220만 원 이하인 경우(기초수급자나 차상위자는 월 10만 원 이상 소득)
4) 가구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가장 큰 혜택은 정부의 지원금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저축한 금액이 2배 이상(하단 내용 참조)이 됩니다. 이는 청년들이 저축을 하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매월 10만 원 이상 저축을 하면, 정부의 지원을 받아 매월 추가로 최대 3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저축입니다. 3년 동안 꾸준히 저축을 하면, 최대 1,44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하려면 복지로 웹사이트나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시면 됩니다. 나이와 소득에 대한 증명서류와 신청 절차에 따라 필요한 다른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이자율은 연 2.0%이며, 최대 연 3.0%의 우대금리가 추가로 적용되어 최대 연 5.0%까지 적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대상 및 신청하는 방법
올해 6/15일부터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가 운영을 개시되었습니다.
가입자가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납입할 수 있으며, 만기는 5년입니다.
가입자격은 은행별 '연령 요건' 및 소득 조건에 따라서 제한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혜택은 정부기여금 및 이자, 이자소득에 비과세 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한 7~8%가량의 일반적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관련해서 가입요건 및 계좌개설에 관한 세부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kinfa.or.kr)에서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확인 조건_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진흥원 | 청년도약계좌 이의신청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개인요건 및 가구원 최신화 ※ 개인 및 가구원 정보에 이상이 없는 경우, 별도로 최신화를 신청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1. 개인요건 최신화가 필요한 경우 - 군복무 이력이
ylaccount.kinfa.or.kr
*위와 같이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를 잘 활용하고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24.gif)
<정남c series>
2023.06.24 - [경제 & 자산(자본)] - [IT&경제] 뮤직카우에 대해서...
[IT&경제] 뮤직카우에 대해서...
뮤직카우는 세계 최초의 음악 저작권(저작권료 참여 청구권) 투자 플랫폼으로 알려졌습니다. 2016년 4월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음악 저작권의 역사를 쓰고 있는 뮤직카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
21ilsang.tistory.com
2023.05.27 - [경제 & 자산(자본)] - [경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알아보고 이해하기
[경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알아보고 이해하기
한국은행과 기준금리 한국은행의 역할과 기준금리에 대해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1. 한국은행이란?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중앙은행으로, 국가의 화폐 정책과 금융 안정을 담당하는 공공기관입
21ilsang.tistory.com
2023.05.14 - [경제 & 자산(자본)] - [경제] 미국 주식시장 더 자세히 알아 보기
[경제] 미국 주식시장 더 자세히 알아 보기
미국 주식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발전된 금융 시장 중 하나로, 수많은 개인과 기관 투자자들이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을 거래합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여러 거래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
21ilsang.tistory.com
'경제 & 자산(자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한국과 미국의 기준 금리 차이(감당 가능!?) (36) | 2023.07.10 |
---|---|
[경제] 경제의 불평등 측정 도구 : 지니계수 이해하기(Understanding the Gini Coefficient: A Tool for Measuring Economic Inequality) (34) | 2023.07.04 |
[IT&경제] 뮤직카우에 대해서... (18) | 2023.06.24 |
[경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알아보고 이해하기 (6) | 2023.05.27 |
[경제] 화폐(현금)의 현재가치(PV)와 미래가치(FV) 이해하기 (8) | 2023.05.24 |
댓글